국가성과 시민사회 팀을 소개합니다

본 클러스터는 근현대 한국의 국가성(statehood)에 대한 국내외 학계의 이론적 논의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한국 국가의 독특한 역사적, 정치사회적 성격을 해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반도의 지정학적 조건으로 인해 국제정치는 한국 근현대사의 일부이기보다는 그 전개를 규정한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전통적 중화질서로부터 근대 제국 질서, 그리고 냉전과 탈냉전으로 이어지는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급격한 구조 변동 속에서 형성된 근현대 한국의 국가적 성격의 형성과 변화 과정을 분석한다. 조공국, 식민지 국가, 저항 민족주의, 분단 체제, 반공국가, 가부장적 국가 등 다양한 개념을 통해 한국의 국가성과 그 역사적 기원에 관한 새로운 이론적 재구성을 시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