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한국종합연구단
소개
인사말
연구팀
민주주의와 민주화
K-미래
정치경제
가치와 정체성
K-서사
근대성과 발전사
현대 한국음악
글로벌 한류
국가성과 시민사회
K-신기술
활동
국제 컨퍼런스
영상 아카이브
집담회
출판
소식
KO
EN
Search
현대한국종합연구단
소개
인사말
연구팀
민주주의와 민주화
K-미래
정치경제
가치와 정체성
K-서사
근대성과 발전사
현대 한국음악
글로벌 한류
국가성과 시민사회
K-신기술
활동
국제 컨퍼런스
영상 아카이브
집담회
출판
소식
KO
EN
연구팀
근대성과 발전사
연구팀
현대 한국의 정치, 경제, 기술, 문화를 연구하는
학제 간 협력과 국제적 연구 교류를 진행합니다.
민주주의와 민주화
K-미래
정치경제
가치와 정체성
K-서사
근대성과 발전사
현대 한국음악
글로벌 한류
국가성과 시민사회
K-신기술
소개
구성원
활동
연구성과
자료실
5
results
이정은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국립순천대학교 사학과에 재직 중이다. 1945년 해방직후부터 1980년대에 걸친 한국 현대 경제사와 사회문화사를 연구하며 가르치고 있다. 연구의 시야를 한국 근현대사 전체로 넓히려 시도 중이다. 최근의 연구로는
「
한국 수출전선의 첨병 ‘상사맨’의 등장과 ‘신화’
」
(2025),
「
현대자동차의 판매시스템 구축과 수출 전략
」
(2025),
「
해방 이후 전남동부지역 식민지기 경제유산 고찰
」
(2024) 등이 있다.
이종욱
미국 미테소타주립대에서 응용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농업·자원경제학전공의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분야는 개발경제학과 효과성평가로, 중·저소득국가의 농업, 교육, 보건, 노동, 인적자원개발, 인권, 이주, 기후변화 등 여러 개발경제학 이슈들과 빈곤 및 불평등에 대한 실증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창근
미국 미시간대(U of Michigan)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KDI국제정책대학원에 재직 중이다. 한국경제의 역사적 발전 과정을 연구하고 강의하며, 산업화의 메커니즘과 민주화의 경제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해왔다. 미시 데이터를 활용해 거시 현상 속 미시적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주력하며, 한국을 특수한 예외가 아닌 보편적 원리로 설명하고자 한다. 기술·산업정책, 문화정책, 사회통합 등 국내 주요 현안과 공여국으로서의 개발협력 정책을 주제로 실증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중앙정부 및 지자체의 정책 과정에도 폭넓게 참여하고 있다.
한봉석
성균관대학교 사학과에서 한국현대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대 부경대학교 사학과에 재직 중이다. 냉전 하 한미관계에서 발생한 기술원조 및 인도주의 구호에 대한 관심 하에 연구를 진행하고 가르친다. 현재는 1960-70년대 냉전 하 저개발국의 식량 유통 및 인구 문제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주요 논문으로 「1960년대 주한 케아의 종합급식계몽교육사업연구-저개발국 여성의 몸에 기입된 냉전과 젠더, 그리고 과학」(2021), 「냉전 하 미국 저개발국 원조와 영양학, 그리고 인도주의 구호의 의미-미국의 남미 어린이급식사업(Operation Niños, 1962-65)의 경험을 중심으로」 (2024) 등이 있다.
이동원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이승만정권기 미국의 대한(對韓) 군사원조 연구』로 문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서울대학교 역사학부/국사학과 대학원에서 한국현대사 담당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미관계 및 외교사 연구를 기반으로 전쟁과 경제, 군과 사회의 관계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 중이며, 과학기술사, 의료사, 남북한관계사로 연구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
이승만정권기 ‘한미합의의사록’의 체결과 개정
」
(2018),
「
베트남전쟁기 PX와 군표의 정치경제학
」
(2020),
「
1950년대 후반 남북한의 군축(軍縮)과 ‘평화’ 모색
」
(2024) 등이 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