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한국종합연구단
소개
인사말
연구팀
민주주의와 민주화
K-미래
정치경제
가치와 정체성
K-서사
근대성과 발전사
현대 한국음악
글로벌 한류
국가성과 시민사회
K-신기술
활동
국제 컨퍼런스
영상 아카이브
집담회
출판
소식
KO
EN
Search
현대한국종합연구단
소개
인사말
연구팀
민주주의와 민주화
K-미래
정치경제
가치와 정체성
K-서사
근대성과 발전사
현대 한국음악
글로벌 한류
국가성과 시민사회
K-신기술
활동
국제 컨퍼런스
영상 아카이브
집담회
출판
소식
KO
EN
연구팀
K-서사
연구팀
현대 한국의 정치, 경제, 기술, 문화를 연구하는
학제 간 협력과 국제적 연구 교류를 진행합니다.
민주주의와 민주화
K-미래
정치경제
가치와 정체성
K-서사
근대성과 발전사
현대 한국음악
글로벌 한류
국가성과 시민사회
K-신기술
소개
구성원
활동
연구성과
자료실
4
results
신형철 (팀장)
서울대 국문학과에서 한국현대시를 전공하여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상과 김수영을 중심으로 한국 모더니즘 시의 정치학을 연구했다. 동시대 문학/문화 현장에 대한 비평 활동을 하면서
『
몰락의 에티카
』
(2008)
를 포함, 다섯 권의 단독 저서를 출간했다. 현재는 서울대 영어영문학과에 재직하며 비교문학을 강의한다. 최근 연구 주제는 ‘김수영 문학에 대한 비교문학적 접근’, ‘윤리학적 비평의 방법론’, ‘재난서사론’, ‘문학 연구에서 포스트크리틱(postcritique)으로의 전환’ 등이다. 최근 작업으로는 「‘죽음의 병’, 혹은 남성적 사랑의 구조적 결함에 대하여: 마르그리트 뒤라스의 「죽음의 병」으로부터」(2020), 「김수영과 백낙청의 시학(詩學)적 대화: 하이데거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2023), 「9·11과 3·11, 혹은 문학의 그라운드 제로(ground zero)에서: ‘재난문학론’을 위한 시론(試論) 1」(2024) 등이 있다.
윤경희
서울대학교 비교문학협동과정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과 미술원에 출강한다. 산문집
『
분더카머
』(2021)
와
『
그림자와 새벽
』(2022)
을 출간하고, 앤 카슨의
『
녹스
』(2022)
를 비롯하여 그림책과 그래픽 노블 여러 권을 번역했다. 유럽 근현대 문학과 시각 예술을 주로 공부하면서, 한국문학 평론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손유경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같은 대학원 졸업. 현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젠더이론을 기반으로 일제강점기 프롤레타리아문학과 1970-80년대 비평 및 근현대 주요 여성 작가들을 연구하였고, 지금은 ‘해방기 문학'에 관한 책을 준비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
고통과 동정
』
(2008),
『
프로문학의 감성 구조
』
(2012),
『
슬픈 사회주의자
』
(2016),
『
삼투하는 문장들: 한국문학의 젠더지도
』
(2021) 등이 있다.
송형국
기자, 영화평론가. 2001년 경향신문 입사, 사회부·문화부·경제부. 2007년 KBS로 옮겨 사회부·경제부·문화부·시사제작국 등을 거치며 12편의 다큐멘터리를 취재·연출했다. 청년 문화예술활동 지원 비영리재단 「오늘은」 이사, 미국 GOLDEN GLOBE 투표인단 회원이다. 국민국가 구성원으로서 시민들이 갖는 욕망 및 (무)의식이 영화·TV 시리즈와 주고받는 영향 관계에 관심을 두고 연구 중이다. 주요 작품으로 다큐멘터리 「신년기획 2부작 알고리즘 인류」(2023 제50회 한국방송대상 작품상·방송통신심의위원회 좋은프로그램상), 「인공지능과 인간의 월급」(2021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표창), 「불평등 사회가 586에게」(2021 KBS 우수프로그램상), 「혐오 팬데믹」(2022 방송기자연합회 이달의기자상), 「재난 시대: 풍요의 역습」(2021 KBS보도본부 보도상), 연속기획보도 「잊혀가는 독립유공자들」(2004 경향대상) 등과 영화비평 「시간의 중력: 그래비티의 3D가 말하는 것」(2013 씨네21 영화평론상 최우수상) 등이 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