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 results
  • 홍석경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이며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한류연구센터 소장이다. 프랑스 그르노블대학에서 미디어의 현실구성에 대한 화용론적 분석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구 관심사는 디지털 문화 형식과 실천, 영상 문화 영상방법론, 한국 대중문화, 그리고 지역 세계적 역학 속의 한류이다. 2000-2013 프랑스 보르도대학 언론정보학과 부교수 기간엔 프랑스의 다문화 시민성에 대해 영상방법론을 활용한 대규모 연구를 진행했고, 기간에 세계 한류현상에 대한 현장연구를 시작, 서울대에 부임한 2013 이후엔 한국 대중문화와 한류, 디지털 미디어실천과 문화적 형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저작으로는  『세계화와 디지털 문화 시대의 한류: 풀하우스, 강남스타일, 그리고 이후』(2013), BTS 위에서』(2020) 있으며, 책은 일본어, 베트남어, 인도네시아어, 영어, 프랑스어로 번역되었다『디지털시대 영상문화와 윤리』(3 공동. 2023), 『드라마의 모든 것』(2017) 편집했고Transnational Convergence of East Asian Pop Culture(공동 ed. 2021) 출판했다. 현재 넷플릭스에 대한 국제컨퍼런스 출판을 연작하고 있으며, 한류 글로벌학자연구네트워크와 더불어 한국 대중문화산업과 한류현상의 이론화를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 조영한

    조영한(曺永翰)은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한국학과 교수이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싱가포르 국립대학 아시아연구소에서 연구원을 역임하였다. 한국 사회의 민족주의와 근대성, 글로벌 스포츠, 아시아 대중문화, 한류 등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옐로우 퍼시픽: 다중적 근대성과 동아시아』 (서울대출판사, 2020), 『한류 탐색: 역사와 이론』(컬처룩, 2024)과 『Global Sports Fandom in South Korea』 (Palgrave, 2020)가 있고, Palgrave 출판사의 Series of Sport in Asia의 창립 편집자이다.

  • 서지영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한류연구센터 선임연구원이며 연세대학교 언더우드 국제대학과 국문학과에서 가르치고 있다. 서강대학교 영문학과 학사 및 동대학원 국문학과 석∙박사 학위,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아시아학 (한국문화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조선시대와 근대 여성예술인들의 존재양식을 통해 대중문화와 젠더의 연관성을 탐색하고 있으며 ‘셀러브리티’의 역사적 형성 과정을 연구하고 있다. 한류를 한국 대중예술∙문화사의 맥락에서 위치 짓는 역사적, 이론적 작업을 모색 중이다. 연구논문으로 근대 매체와 기생 셀러브리티의 형성: 공적 친밀성 개념을 중심으로(2023), 1930년대 대중예술의 장과 기생의 공적 재현(2023), 여악(女樂)의 재현의 층위들: 조선시대 예인으로서의 기녀에 대한 고찰(2021) 등이 있으며, 단독 저서 『경성의 모던걸: 소비, 노동, 젠더로 본 식민지 근대』(2013); 일본어 번역본 『京城のモダンガル: 消費· 労働·女性から見た植民地近代』(みすず書房, 2016)가 있다. 영역(英譯)한 책으로 Kim Chang-nam, The History of Korean Popular Culture (Brill, 2025 [forthcoming])가 있다.

  • 박소정

    양대학교 ERICA 문화콘텐츠학과 조교수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은 후대중문화와 디지털 문화에 대해 가르치고 연구한다. TV, 영화아이돌온라인 커뮤니티 등 대중문화와 디지털문화의 전 영역을 꾸준히 향유해 온 덕에 덕업일치를 이룬 연구자가 되었다주로 미디어 문화를 통해 관찰되는 정체성과 친밀성의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고 담론 분석과 인터뷰 등의 질적 방법을 활용한 연구를 수행한다특히한류와 K-콘텐츠가 생산되고 수용되는 방식과 그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담론 및 가치에 대해 다종의 연구를 수행했다또한새롭게 부상하는 디지털 플랫폼이 만들어내는 콘텐츠 특성과 수용자 문화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연구 및 교육하고 있다저서인 미백피부색의 문화정치(2022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2023년 ICAS 한국어 우수 학술도서)를 통해 한국 미디어 문화의 핵심 미학인 미백과 K뷰티에 대해 포스트식민주의적인 해석을 제시했다이를 바탕으로 한국과 동아시아 사회의 종족-미디어정경(ethno-mediascapes)’에 주목하며 인·종족 문제와 미디어 환경이 교차하여 만들어내는 여러 현상을 관찰 중이다.